본문 바로가기
  • 화장품 성분을 제대로 이야기하다.

화장품 관련 정보 & 자료3

화장품 사업 전 필독!(동남아 수출) 안녕하세요 반가워요 간만입니다. 곰기획 입니다:D 화장품 사업 전이라면 꼭 읽어보세요! 추가로 동남아 수출 관련한 내용도 추가했습니다. 개인적으로 국내 온라인 시장에서 화장품을 5년 이상 팔아본 결과 국내 뷰티 시장은 레드오션이라는게 자명하다. 필자는 오늘 왜 레드오션이 되었는지, 그럼 어떻게 이 레드오션에서 살아남아야 하는지 함께 논의하고자 합니다. 국내 화장품 시장이 레드오션이 된 이유 우후죽순 생겨난 화장품 판매자들! 그도 그럴것이 화장품을 판매할 수 있는 자격이라고 판단되는 화장품책임판매업자의 수가 2017년 기준 현재 2배가 넘었다. 내 생각에는 2000년대 초반에 호황기를 누렸던 화장품 업계에 쉽게 돈을 벌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 여러 업체 및 사람들이 환상을 가지고 많이 화장품 사업을 시작했.. 2022. 9. 12.
[CGMP] 화장품, 제조사도 제대로 알자! 화장품 사실 때, 어떤 기준으로 구매하시나요? 리뷰, 블로그, 네이버 쇼핑 순위, 지인 추천 디자인, 성분 기타 등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서 구매하시죠? 하지만, 제조사는 고려해보셨나요? 화장품은 피부에 ‘직접’ 바르는 제품이다 보니 안전하고 위생적인 환경에서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제조사를 신경 안 쓰면 너무 아이러니한 거겠죠? 그래서 오늘은 화장품 제조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저는 개인적으로 화장품 제조사를 3개로 나눠서 생각합니다. 1. CGMP 수준 업체 2. ISO 수준 업체 3. 인증서가 없는 업체 왜 이렇게 3개로 나누냐면, 위에 기준에 따라 화장품 제조사의 규모, 위생 정도, 화장품 퀄리티, 제품 안정도가 나뉘기 때문이에요. 물론 모든 업체가 부합하는 건 아니에요. 하지만,.. 2021. 2. 13.
업무 용어집(업데이트 되는 재미있는?) 지금까지 일을 해오면서, 정리해온 업무 용어집 입니다. 계속 일을 하면서 늘어나는 용어는 계속 정리해볼 예정입니다. 중간중간 중요한 용어나 개념들은 한 번 더 정리해서 따로 올릴 수도 있겠네요! Ctrl+F를 이용해 원하는 용어를 검색하시면 사용하시기 편합니다. 생각나는 대로 업데이트를 해왔던지라 순서가 좀 뒤죽박죽이어서요! ※주의 : 아재가 되어서 아재개그가 합법화된 아재의 개그가 들어가 있을 수 있음 Agenda / 아젠다 주제, 완수해야하는 업무 내용 "00과장 오늘 회의의 아젠다는 뭐지?" 보통 회의의 안건 및 미팅의 주제에서 '안건', '주제'를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대충 이런 늬앙스구나 하고 때려 맞췄던 용어이기도 한데요. 저는 보통 주제라는 단어를 많이 씁니다....만 영어로 .. 2021. 1. 10.